본문 바로가기

꽃따라바람따라

남한산성 둘레길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약 24km 떨어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위치한다.

행정구역으로는 광주시, 하남시, 성남시에 걸쳐 있으며 성 내부는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속해 있다.

남한산성은 한강과 더불어 삼국의 패권을 결정짓는 주요 거점이었다.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한 이후 백제인들에게 남한산성은 성스러운 대상이자 진산으로 여겨졌다.

조선시대에는 선조에서 순조에 이르기까지 국방의 보루 역할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특히 조선 16대 임금 인조는 남한산성의 축성과 몽진, 항전이라는 역사의 회오리를 이곳 산성에서 맞았다.

 남한산성 서문이 바로 인조가 청나라 진영으로 들어가 화의를 맺고 항복했던 문이다.

오늘날의 남한산성은 1624년(인조 2년)부터 축성되어 1626년에 완공되었다.
산성 내에는 행궁을 비롯해 백제의 시조 온조대왕의 사당인 숭열전, 청량당, 지수당, 연무관 등 많은 문화유산들이 있다.

산성을 둘러보는 길은 5가지 코스가 있으며 짧게는 1시간20분, 길게는 3시간 정도 소요된다.

북문

 

 

 

산성 외곽으로 걸으며

야생화들을 살펴 보았다.

자연과 어우러진 성곽

역사의 현장을 돌아 보는 발걸음은 무겁지 않았다.

 자주조희풀

 

 

 

 

 

 

 

 

 

송장풀과 나비나물

 

 

 

 

 

 

 물봉선

 

 

 

 

 

 

 

 

등골나물과 바위채송화

 

 

 

 

 

 

 

 

멸가치

 

 

 

 

 

 

 

기린초와 꼭두서니

 

 

 

 

서문

 

 

담쟁이덩굴과 금강아지풀

 

 

 

 

 

 

 

 

 

 

 수어장대

 

 

 

수령71년의 전나무

리대통령방문기념식수라고 써 있었다.

 

 

 거미고사리와 단풍취

 

 

 

 

 

 

망초와 여뀌

 

 

 

 

 

 전말대에서 바라 본 서울 시내

 

 

 

단풍드는 계절에 다시 둘레길을 걸어 보고 싶다.

2012.09.05

 

8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