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비교사진

[스크랩] 꽃차례 (화서)

꽃차례 (화서)

1> 단꽃차례  [單花序]

    꽃차례가 2회 이상 중복될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총상꽃차례가 다시 총상으로 달린 경우를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라 하며,
    밑부분의 가지일수록 길기 때문에 전체가 원추형으로 되므로
    원추꽃차례[圓錐花序]라고도 한다.

    산형꽃차례가 다시 산형으로 달릴 경우는 복산형꽃차례[複傘(揀)形花序]라고 한다.

    미나리과를 꽃차례의 특징상 산형과(揀形科)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미나리과식물의 대부분은 단꽃차례의 산형꽃차례가 아니고, 복산형꽃차례이다.

    그러나 권산꽃차례가 총상으로 달리듯이 서로 다르게 달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전자의 동형복꽃차례[同形複花序]에 대하여 이형복꽃차례[異形複花序]라고 하며,
    권산총상꽃차례[卷揀總狀花序]라고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두상꽃차례가 산방상으로 달릴 경우 두상산방꽃차례[頭狀揀房花序],
    포도의 경우와 같이 취산꽃차례가 총상 또는 복총상으로 모여서 달릴 때는 밀추꽃차례[密錐花序]라고 한다.

2> 복꽃차례  [複花序]

    (1) 총수꽃차례  [總穗花序]

      꽃대 밑에서 끝을 향하면서 꽃이 피며, 꽃대의 꼭대기에 꽃을 달지 않는다.
      무한꽃차례[無限花序] 또는 구심꽃차례[求心花序]라고도 한다.
      꽃대의 길이와 달리는 곳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지만 변형이 많다.

      중심축에 꽃대가 있는 꽃이 달린 것을 총상꽃차례[總狀花序]라고 하며 겨자과의 꽃은 대부분 여기에 속한다.
      질경이과의 꽃차례는 이와 비슷하지만 꽃대가 없어
      수상꽃차례[穗狀花序]라고 한다.

      유이꽃차례[訂荑花序]는 이와 비슷하지만 꽃대가 유연하고 단성화(單性花)가 달려 밑으로 처진다.
      참나무과 ·가래나무과의 꽃이 이에 속하는데,
      현재는
      육수꽃차례[肉穗花序]에 포함시키고 있다.
      천남성과의 육수꽃차례는 수상꽃차례의 꽃대가 육질화한 것이다.

      산방꽃차례[揀房花序]는 총상꽃차례와 같으나 밑에 달린 꽃일수록 꽃대가 길고 꽃이 한 평면상에 배열된다.
      두릅나무과 식물의 꽃차례는 마디와 마디 사이가 극도로 단축되어 있어 많은 꽃대가 한 군데에서 사방으로 퍼져 나가 바람에 뒤집힌 우산살같이 보이므로
      산형꽃차례[傘形花序]라고 한다.

      두상꽃차례[頭狀花序]는 마디 사이가 단축되고 꽃대가 유합하여 원판처럼 된 대좌(臺座)에 많은 꽃이 달려서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피어 들어간다.

    (2) 취산꽃차례 [聚花序]

      꽃대의 끝에 달린 꽃이 먼저 피고 점차 밑으로 피어가며, 꽃대 꼭대기에 꽃이 달린다.
      유한꽃차례[有限花序]
      또는
      원심꽃차례[遠心花序]라고도 한다.

      단출취산꽃차례[單出聚揀花序]는 꽃대 끝에 첫번째 꽃이 달리고 그 밑에서 나오는 곁가지가 둘째 꽃대가 되고,
      둘째에서 셋째 꽃대가 나오며, 꽃대가 갈라지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권산꽃차례[卷揀花序]는 꽃마디에 달리며 취산꽃차례의 일방적인 퇴화로 같은 방향으로 말린 것처럼 보인다.
      권산꽃차례는 꽃대가 서로 직각으로 달리지만 예각으로 달리는 것을 꼬리취산꽃차례라고 하며 끈끈이주걱에서 볼 수 있다.

      선상꽃차례[扇狀花序]는 좌우 번갈아 꽃대가 한 평면상으로 갈라지는 것이며, 프리지아의 꽃차례가 이에 속한다.

      호산꽃차례[互揀花序]는 좌우 교대로 꽃대가 직각으로 갈라지며, 물망초의 꽃차례가 이에 속한다.

      이출취산꽃차례[二出聚揀花序]는 마주나기잎차례[對生葉序]에서 유래하는데,
      첫째 꽃 밑에서 2개의 곁가지가 자라 각각 1개씩 꽃을 다는 것으로
      기산꽃차례[순揀花序]라고도 한다.

      다출취산꽃차례[多出聚揀花序]는 돌려나기잎차례[輪生葉序]에서 유래하는데,
      각 마디에서 3개 이상의 곁가지가 나오는 것을 말하며,
      2출 또는 단출취산꽃차례의 마디 사이가 매우 단축되어 한 마디에서 많은 가지가 나온 것처럼 보일 때도 다출취산꽃차례 또는
      다산꽃차례[多傘花序]라고 할 때가 있다.
      이때에 후자는 산형꽃차례같이 생겼으나 꽃이 원심적으로 피기 때문에 구별된다.
      마디 사이뿐 아니라 꽃대까지 단축되었을 때는 많은 꽃이 한군데 밀집하기 때문에
      밀산꽃차례[密揀花序]라고 하며,
      두상꽃차례[頭狀花序]와 같이 보이지만 꽃이 피는 순서에 따라서 구별한다.

      꿀풀과의 꽃은 많은 꽃이 마디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윤산꽃차례[輪揀花序]라고 하지만,
      마주나기 잎겨드랑이[葉腋]에 취산꽃차례가 각각 달린 것이다.

      무화과의 은두꽃차례[隱頭花序]는 취산꽃차례의 꽃대가 육질화하여 서로 유합함과 동시에
      중앙이 깊이 들어가서 단지처럼 된 데 많은 꽃이 달린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무한화서


구심꽃차례
 

무한꽃차례 [ indefinite inflorescence ]
꽃의 형성, 개화의 순서가 아래에서 위로, 가장
자리에서 가운데로 차차 피기 시작하는 꽃차례.
무한화서(無限花序)라고도 한다.
많은 꽃눈이 만들어지면서 꽃차례의 맨 꼭대기는 계속 자란다.
총상꽃차례 ·수상꽃차례 ·산방꽃차례 · 산형꽃차례 ·원추꽃차례 등이 여기에 속한다.

유한화서

유한꽃차례 [ definite infloresence ]
개화 순서가 꽃대의 정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피는 꽃차례
유한화서(有限花序)라고도 한다.
취산꽃차례가 여기에 속한다


수상
화서
(질경이)

수상꽃차례 [ 穗狀-, spike ]
꽃자루가 없거나 또는 짧아서 축에 접착하여 수상이 되어 있는 꽃차례.수상화서(穗狀花序)라고도 한다.
무한꽃차례[無限花序]의 하나이며, 질경이 ·오이풀 ·화본과 식물 등의 꽃이 이에 속한다.
수상꽃차례가 다시 수상으로 배열하는 것을 복수상꽃차례[複穗狀花序]라 하며, 화본과식물의 꽃이 이에 속한다.
즉, 이중의 수상꽃차례이며, 그 단위가 되는 수상꽃차례를 작은이삭[小穗]이라고 한다.
또 수상꽃차례가 총상(總狀)으로 집합한 것을 수상총상꽃차례라고 하며, 사초과식물 등이 이에 속한다.

수상화서(穗狀花序)라고도 한다.
무한꽃차례[無限花序]의 하나이며, 질경이 ·오이풀 ·화본과식물 등의 꽃이 이에 속한다.
수상꽃차례가 다시 수상으로 배열하는 것을 복수상꽃차례[複穗狀花序]라 하며,
화본과식물의 꽃이 이에 속한다.
즉, 이중의 수상꽃차례이며, 그 단위가 되는 수상꽃차례를 작은이삭[小穗]이라고 한다.
또 수상꽃차례가 총상(總狀)으로 집합한 것을 수상총상꽃차례라고 하며, 사초과식물 등이 이에 속한다.


육수
화서
(천남성)

육수꽃차례 [ spadix ]
꽃대가 굵고 육질이 되어 그 위에 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달리는 꽃차례.
육수화서(肉穗花序)라고도 한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것도 있다.
천남성과·부들과에서 볼 수 있다.


총상화서

(냉이)

총상꽃차례 [ raceme ]
무한꽃차례에 속하는 꽃차례.총상화서(總狀花序)라고도 한다.
중심축에 꽃대가 있다.
무리져 피는 하나하나의 꽃이 짧은 꽃자루에 달려 있고 모든 꽃자루는 길이가 거의 같다.
꽃줄기는 길게 자라고 고른 간격으로 꽃눈이 만들어지는데 금어초처럼 줄기와 꽃자루가 만나는 자리,
즉 겨드랑이 위쪽에 잎처럼 생긴 포(苞)가 달리기도 한다.
유채 등이 이에 속한다.


복총상화서
(여로)

복총상꽃차례
총상꽃차례가 다시 총상으로 달린 경우를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라 하며,
밑부분의 가지일수록 길기 때문에 전체가 원추형으로 되므로 원추꽃차례[圓錐花序]라고도 한다.


원추화서

원추꽃차례 [ panicle ]
무한꽃차례 가운데 총상꽃차례
원추화서(圓錐花序)라고도 한다.
꽃이삭의 축이    몇 차례 분지하여 최종의 가지가 총상꽃차례가 되며,
밑부분의 가지일수록 길기 때문에 전체가 원뿔형이다.
남천 등이 이에 속한다.


산방화서

(유채)

산방꽃차례 [ 揀房-, corymb ]
총상꽃차례와 산형꽃차례[傘形花序]의 중간형인 무한꽃차례산방화서( 房花序)라고도 한다.
줄기에 꽃자루가 총상꽃차례와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달리지만,
꽃자루의 길이는 아래에 달리는 것일 수록 길어져서 꽃의 위치가 아래쪽에서 편평하고 고르게 된다.
산사나무,유채,마타리가 이에 속한다.


산형화서

(오가나무)

산형꽃차례 [ 傘形-, umbel ]
꽃이삭 축의 꼭대기 끝에 거의 같은 길이
의 꽃자루를 가진 다수의 꽃이 방사상(放射狀)으로 달린 무한꽃차례.산형화서(傘形花序)라고도 한다.
이것은 총상꽃
차례의 주축이 단축하여 다수의 꽃이 한 곳에 모인    형으로 생각된다.
두릅나무과 ·미나리과 ·앵초과 · 파류 ·석산류 등에서 볼 수 있다.
산형꽃차례의 꽃에 해당되는 부분에 또 하나의 산형꽃차례를 만드는 경우를 복합산형꽃차례라고 하며,
미나리, 그 밖의 많은 미나리과 식물에서 볼 수 있다.


복산형
화서
(미나리)

복산형꽃차례
꽃이삭 축의 꼭대기 끝에 거의 같은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다수의 꽃이 방사상(放射狀)으로 달린 무한꽃차례.
산형화서(傘形花序)라고도 한다.
이것은 총상꽃차례의 주축이 단축하여 다수의 꽃이 한 곳에 모인 형으로 생각된다.
두릅나무과 ·미나리과 ·앵초과 ·파류 ·석산류 등에서 볼 수 있다.
산형꽃차례의 꽃에 해당되는 부분에 또 하나의 산형꽃차례를 만드는 경우를 복합산형꽃차례라고 하며,
미나리 ·갯방풍, 그 밖의 많은 미나리과식물에서 볼 수 있다.


두상화서
(해바라기)

두상꽃차례 [ capitulum ]
꽃이삭의 주축이 극단적으로 단축되어 두상 또는 원반상을 이루고,
그 위에 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모여 피는 꽃차례.두상화서(頭狀花序)라고도 한다.
하부에 총포(總苞)가 없어서 외견상 1송이의 꽃같이 보인다.
두상꽃차례의 예는 국화과·산토끼꽃과·꼭두서니과의 일부와 버즘나무과 등에서 볼 수 있다.


취산화서

취산화서 聚花序 cyme
선단의 꽃 밑에 여러개의 꽃이 달리는 형식이 반복된 화서
(작살나무, 백당나무, 덜꿩나무)


단출취산
화서
(왜지치)

단출취산꽃차례[單出聚花序]
꽃대 끝에 첫번째 꽃이 달리고 그 밑에서 나오는 곁가지가 둘째 꽃대가 되고,
둘째에서 셋째 꽃대가 나오며,
꽃대가 갈라지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출취산
화서
(사철나무)

이출취산꽃차례 [ 二出聚揀-, dichasialcyme ]
주축의 꼭대기에 하나의 꽃을 달고,
그 아래로 양쪽에 1개씩의 가지를 내며 그 끝에 각각 1개씩의 꽃이 달리는 꽃차례.
기산꽃차례·이지집산꽃차례 ·복의산꽃차례
라고도 한다.
유한꽃차례[有限花序]의 일종으로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1개씩의 가지를 양쪽으로 내는 것을 되풀이한다.
벼룩이자리 ·점나도나물 ·참회나무 등이 이에 속한다.


권산화서

권산꽃차례 卷花序 drepanium, helicoid cyme
고사리 잎처럼 말리는 취산화서 (꽃마리)


배상화서

배상꽃차례 [ cyathium ]
꽃대와 몇 개의 포엽이 변형하여 잔 모양으로 되는 꽃차례.
배상화서(杯狀花序)라고도 한다.
안쪽에 몇 개의 퇴화한 수꽃이 달리며 잔 바닥에 1개의 암꽃이 달린다.
대극과에서 볼 수 있다.


    육수화서

    육수꽃차례 肉穗花序 spadix
    육질로 비후한 기둥모양의 화축에 꽃이 빽빽이 달린 화서(천남성과)


      이삭화서

      이삭꽃차례
      길고 가는 화서축에 자루가 없는 꽃이 조밀하게 달린 화서
      (오이풀 들깨풀 질경이 여뀌류 벼과 등)  


        집산화서

        집산꽃차례 [ 集揀-, cyme ]
        가축분지(假軸分枝)에 의한 꽃차례.
        즉, 축의 선단의 생장점이 한 번 정지한 후 꽃이 달리고,
        다시 바로 그 밑에서 가지가 나와 신장 해서 꽃이 달리고,
        다시 또 그 밑에서 분지하여 생장하는 형식이 되는 유한꽃차례의 하나이다.
        이 경우 가막살나무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이 분지가 비교적 밀집해서 나오면 다산꽃차례가 되고,
        또 층층나무처럼 그 밀집도가 한층 심해서 꽃차례 전체가 다육화(多肉化)되면 단산꽃차례가 되며,
        다시 그 정도가 진행되어 꽃차례의 축이 변형하여 꽃을 싸버리게 되면
        무화과나무에서 볼 수 있는 은두꽃차례[隱頭花序]가 된다.

          집산화서 참조

          은두꽃차례 [ 隱頭-, hypanthodium ]
          꽃턱이 커지거나 들러붙어 주머니 모양이 되고,
          그 안쪽에 꽃이 달려서 겉에서 보면 꽃이 보이지 않는 꽃차례
          은두화서라고도 한다.
          집산꽃차례의 한변형으로 무화과나무속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성숙하면 주머니 모양이 되는 꽃차례축 부분이 눈에 띄게 두터워지며 무화과 같은 열매가 된다.
          뽕나무과 식물에서 볼 수 있는 불가사리 모양의 꽃차례는 집산꽃차례에서 은두꽃차례로 바뀌어가는 형태이다.


            소수화서

            소수꽃차례 (小穗花序, spikelet)
            대나무의 꽃과같이 작은 이삭으로 구성되어있는 화서


              단산화서

              단산꽃차례 [ 單揀-, monochasium ]
              한 송이의 꽃마다 그 꽃밑에서 측지(側枝)
              를 가축분지(假軸分枝)로 내는 꽃차례.단산화서라고도 한다.
              측지가 나오는 방향이 꽃자루[花柄]와 꽃대와의 면에 직교하고,
              한쪽 방향으로만 나올 경우(예:왕원추리)에는 나선상이 되고,
              직교하면서 좌우 두 방향으로 번갈아 나올 경우(예:닭의장풀과)에는 전갈의 꼬리 모양이 된다.
              측지가 꽃자루와 동일면으로 나오고 한쪽 방향으로만 나올 경우(예:물망초)에는 권산이 되고,
              그것이 좌우 두 방향으로 나올  경우(예:극락조화)에는 선상(扇狀)이 된다.

                그림없음
                미상화서

                미상꽃차례 [ catkin ]
                비교적 부드러우며 가늘고 긴 수상꽃차례에,
                단성화(單性花)가 달리며 밑으로 늘어지는 꽃차례.
                미상화서(尾狀花序)라고도 한다.
                무리져 피는 모든 꽃들이 수꽃이든가, 암꽃 1가지로만 이루어져 있다.
                또 암술과 수술은 한 꽃에 나타나지 않는다.
                호두나무 너도밤나무 등이 이에 속한다.

                출처 : 성주
                글쓴이 : 사랑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