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합시다

[스크랩]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아들아, 밍기적거리지 말고 빠진 없는지 가방 챙겨서 얼른 가야지.

친구들하고 싸우지 말고. 재미있게 놀다와."

"아빠, 제가 그렇게 어리숙하게 보여요?

아빤 엄한 아들만 자꾸 보채는지 모르겠네."

 

수학여행 떠나는 아들에게 아버지가 다녀오라고 당부하자

아들 녀석은 저를 믿는 듯한 아버지 말씀이 못마땅한가 보다.

아들은 행동을 재빠르게 하지 못해 아빠에게

`밍기적거린다` 핀잔을 듣고서는 소지품도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어리숙한` 사람 취급한다며 `엄한` 아들만 보챈다고 살짝 짜증을 낸다.

 

우리는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저도 모르게 어법에 맞지 않는 말을 많이 쓰곤 한다.

`나아가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조금 동작으로 자꾸 게으르게 행동하다`

뜻하는 단어는 `밍기적거리다` 아니라 `뭉그적거리다`이다.

 

발음이 비슷해 잘못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 같다.

`어리숙하다` `어리석다` 형태가 비슷해 많이 잘못 사용하는 단어다.

`말이나 행동이 매우 숫되고 후하다, 되바라지지 않고 매우 어리석은 데가 있다,

제도나 규율에 의한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아 매우 느슨하다` 뜻하는

바른말은 `어수룩하다`이다.

 

우리말은 하면 할수록, 배우면 배울수록 어려운 같다.

`엄한 ` `엄한 사람`이라는 표현으로 많이 쓰는데,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억울하게 또는 엉뚱하게 느껴지는` 뜻하는 말은 `애먼`이다.

 `애먼 ` `애먼 사람` 꼴로 쓰면 되겠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틀렸다는 것을 알면서도 남이 제대로 알아듣지 못할까봐-

틀린 말을 자주 많이 쓴다. 이러한 단어가 다소 생소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으나

바른말을 찾아 쓰려는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이다.

 

564주년 한글날이 다가왔다.

우리 말글은 우리가 쉬는 공기처럼 없어서는 되고

항상 우리와 함께하지만 의미나 중요성을 간과할 때가 많다.

한글날을 맞아 다시 한번 우리 말글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가짐을 다잡아 본다.

 

 

출처 : 매일경제신문 2010.10.7.

[교열부 = 김종현 기자 kjhyun@mk.co.kr]

·· ·· ·· ·· ·· ·· ·· ·· ·· ·· ·· ·· ·· ·· ·· ·· ·· ·· ·· ·· ·· ·· ··

 

참고 : '어리숙하다'는 표준어인 '어수룩하다' 혹은 '어리숭하다'로 고쳐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국립국어원

 

 

 

 

출처 : 바람재 들꽃
글쓴이 : 래리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