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원이야기 (수원화성)

수원화성과 행궁 옆 행궁동 길

 

아침에 조금 내리던 비가 그치고

안개가 뿌연 하늘

오전중엔 이런저런 밀린 일 정리 해 놓고

오후 집에 있으면 또 주저 앉을 것 같아 나를 일으켜 세운다.

내 달아 봐야 수원화성.

늘 찾아 가도  그 때마다 다른 모습으로 보이니 신기한 일이다.

 

 

 

 

 

창룡문 사거리는 지하도 공사 마무리로 분주하다.

1번 국도가 조금 덜 막혔으면 좋겠다는 생각^^

 

동북노대

 

동북포루 뒷편

 

은행나무는 까치나무(?)가 되었다.

 

나란히 서 있는 이 나무를 보며 짝 1호 2호 3호 ...

그런 생각을 해 보았다.

재미 있는 모습이다.

 

동북포루

 

방화수류정과 용연

물이 녹아 반영이 있지만 바람이 심술을 부렸다.

 

 

 

 

 

 

 

 

장안문

 

 

 

 

장안공원

 

 

앞에 두 그루 산수유가 피면 더 아름답게 보일 것 ^^

 

 

북포루

화성열차가 지나고 있다.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과 화서문

 

 

화서문의 천정화

 

 

서북각루

 

화령전

조선 제22대 임금이었던 정조(재위 1776∼1800)의 초상화를 모셔놓고, 해마다 제사지내던 건물이다.

23대 임금 순조는 아버지 정조의 지극한 효성을 본받기 위하여 순조 1년(1801)에 수원부의 행궁 옆에 건물을 짓고 화령전이라 하였다.

처음 지어질 당시의 화령전은 정조의 초상화를 모셔놓은 정전인 운한각을 비롯하여, 이안청·재실·전사청·향대청·제기고·외삼문·내삼문·중협문이 있었다.

 이 중 남쪽에 있었던 향대청과 제기고 건물은 남아있지 않다. 정전 현판의 글씨는 순조가 직접 쓴 것이다.

이곳에 속하는 건물들은 대부분이 정전인 운한각의 건축규범에 따라 지어졌다.

특히 이안청은 지붕이 있는 복도식으로 정전과 연결이 되어있어, 눈이나 비가 올 때도 젖지 않도록 하였다.

순조는 이곳에서 노인들을 모아놓고 잔치를 베풀기도 하였으며, 직접 정조가 태어난 탄신일과 돌아가신 납향일에 제향을 지내기도 하였다.

제향은 1920년 일본인에 의해 정조의 초상화가 창덕궁으로 옮겨질 때까지 계속되었다.

궁궐에 지어진 다른 영전들과는 달리, 수원에 세워진 화령전은 대칭에 의한 격식과 기능에 따른 영역의 구분이 확보된 대표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몇 채의 사라진 건물을 제외하면 비교적 좋은 상태로 보존되어 당시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화성행궁 신풍루

 

 

 

 

아름다운 문화의 길로 조성된 화성행궁길

 

 

 

 

 

 

 

 

 

 

 

 

 

 

 

팔달문에서 서장대로 오르는 계단